청년사목
청년사목
[청년에게 전하는 사제/ 수도자의 질문]
(B 신부님)
① 천주교 신자로서의 의미, 하느님의 자녀로서 나 스스로가 신앙인이란 존엄성과 가치, 자존감을 가지고 있나요?
그런 게 있긴 있죠. 그런 게 약간. 성당에서 같이 있을 때 그런 걸 더 많이 느끼고요. 혼자 있을 때 사회 속에 임원으로 있을 때는 그런 게 약해지죠. 신부님도 사회와 동떨어진 게 있지만. 신부님들조차도 사회생활하는 친구들의 마음을 헤아려질 수 있는 있어야 하지 않을까. 특히 신부님 특성상 사람들이 배려를 해주잖아. 사회 체계 속에서의 힘듦과 고난을 깊이 있게 느끼지 못하는 거 같아. 평소에 함께 신앙을 가지고 있는 친구들과의 자주 만나는 시간이 있어야 되겠죠. 서로 마음도 나누고.
② 천주교라는 신앙이 나의 현실과 삶에 힘을 주고 희망을 주나요?
힘도 주고 희망도 주지만 스트레스도 많이 줘요. 애정은 엄청나게 생기지만 스트레스도 엄청 많이 받는 거 같아.
(A1 신부님)
교회가 청년 여러분들에게 무엇을 해주기를 바라나요?
조금 더 자유가 있었으면 좋겠어. 어느 정도의 가이드라인만 잡아주고 뛰어놀게 하면 되는데, 교육해야 한다고 하면서 그것도 중요하지만 너무 뭔가를 하려고 해. 보여주기 식으로 말야. 어른들한테 뭔가를 해주고 그래야지. 아무리 빨랑카가 들어온다고 하더라도 우리 안에서 의견이 나와서 우리 안에서 신나서 해야 하는데, ‘우리가 이렇게 해야 하지 않겠냐’, ‘저렇게 하는 게 낫지 않겠냐’ 하면서 의견이 오면 우리가 신나서 해야 하잖아. 임원들이 신이 나야 성당이 사는 거 아니겠어? 임원들이 밥 먹고 술 먹어서 힘이 나는 게 아니라 자기가 자기 뜻을 펼칠 수 있고 그렇게 해서 나오는 보상은 물리적이 보상이 아니라 “잘했다, 수고했다”는 응원이잖아. 그런데 정작 잘하면 당연한 거고, 못하면 혼나고 있으니….
(A2 신부님)
① 신앙생활과 현실생활 간에 괴리감은 어느 정도인가요?
글쎄, 지금은 크게 와 닿는 건 없어. 성당도 작은 사회라고 보거든. 사회를 축소한 것처럼 이상한 사람도 많고, 좋은 사람도 많고. 어찌 보면 성당에서 힘든 게 난 더 많지. 사회에선 까놓고 돈만 받고 일하면 되는데 성당에선 임원들도 봉사하는 거고 함께 일하는 사람도 내가 월급을 주면서 일하자고 하는 것도 아니고 자율적으로 함께 할 수 있게 해야 하니까. 난 성당에서 괴리감을 더 많이 느껴. 사회보다는 애증관계인 거지.
(S 신부님)
① 당신의 삶에서 청년회가 주는 의미는 무엇입니까?
지금은 일부보다고 큰? 그렇다고 전체라고 하기엔 약간 모자란. 왜냐면 내가 그 안에서 뭔가 신앙심이 풍부하고 한 것보다는 내 마음에 안정을 주는 몇 안 되는 단체이고. 나도 그걸 위해서 사람들한테 베풀기도 하고. 청년회는 내 신앙의 발전소라고 해야 하나. 동기유발을 해주 고. 신앙생활은 혼자 유지하기가 어렵다. 서로가 서로에게 가드레일이 되어주고.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