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사목
청년사목
Ⅱ. 배경 및 목적
1. 배경
가. 청년들이 처한 현실과 사회적 환경이 변화하였으나 청년당사자의 목소리가 공동체에 전달될 수 있는 창구가 부족하여
이에 대한 교회 전반의 이해와 대응이 늦음.
나. 청년이 줄어드는 공동체에 대한 우려는 존재하나, 이를 청년 개인의 신심과 마음가짐의 문제로 인식하고 대응하는 것에 대한 문제
2. 목적
가. 청년의 감정과 그들의 삶의 문제를 듣고 기록하는 과정을 통해 현재 청년사목의 지점에 대한 성찰과 이후에 대한 공동체적 대응방법을 모색
나. 수도자가 청년에게 전하는 질문을 다양하게 받아 이를 전달함으로써 공동체의 소통의 장 마련
다. ‘나의 고민을 들으려는’ 노력을 하고 ‘함께 해결해가려는’ 당사자그룹이 있다는 걸 청년에게 알리고,
교회 안에서 청년이 주도적으로 자기 목소리를 내어보는 경험을 마련
라. 청년세대가 처한 보편적인 문제를 인식하고 이를 공유함으로써 교회 밖 청년들과도 삶을 나눌 수 있도록 만남의 장 마련
3. 설계
가. 기간 : 2016년 11월 - 2017년 1월 (3개월간)
나. 대상 및 방법 : 교회 내에서 활동하고 있는 20명의 평신도 청년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함.
활동의 범위는 ①본당 청년회 ②본당 교사회 ③교구 청년신심단체로 기준, 교회의 또 다른 청년인 17명의 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
다. 질문 내용
1) 평신도 청년 : 신앙 활동을 하며 개인이 느끼는 감정에 주목. 주일만이 아닌 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의 한 청년의 일상/현실/고민에 초점을 두려 노력. 더하여 교구 신부님들과 수녀님들이 청년신앙인에게 전하는 질문도 모아 함께 구성하였음. 2) 신학생 : 미래의 사목자이자 교회 내 청년세대인 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실시. 높은 생활물가와 학자금 대출, 단기-임시직의 노동환경으로 대표되는 청년빈곤문제에 대한 청년신학생들의 입장과 동세대간의 소통과 어려움을 확인하기 위한 질문으로 구성하였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