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사목
청년사목
청년사목
청년사목
코로나와 함께 하는 일상으로 나아가고 있다.
아직 확진자 수가 늘어나고 불안하지만 경제적 정치적(?) 이유와 더불어 높아진 백신 접종률로 진행되고 있다. 본당에서도 공동체 활성화를 위해 여러 고민을 해야 할 때가 되었다. 미사 인원 제한도 많이 풀리고(접종 완료자만 있을 때 100% 아니면 50%) 단체 모임(식사나 음료 금지)도 가능해지고 있다.
그렇다면 위기를 기회로 삼기 위해서
적어도 공동체 활성화를 위해서 어떤 포인트에 무게를 두어야 할까?
천주교가 가진 특징을 활용하는 방안이 있다.
┏
첫영성체
견진성사
병자성사
공동체 활성화의 열쇠
┚
【 첫영성체
초등학교 3학년이 되면 첫 영성체를 해야 한다.
신앙 교육을 위한 교육이면서 동시에 신앙 공동체를 만들어가는 과정이다. 곧 신앙 교육 + 관계 형성의 자리이다. 이 과정을 잘 활용하면 활성화의 열쇠가 된다. 주일학교가 가진 특성 때문인데 학생 그룹과 청년 그룹(교사) 그리고 자모 그룹(30-40대)가 함께 하는 단체이기 때문이다. 어떤 방식으로 첫 영성체를 진행하느냐에 따라 10-40대까지를 아울러 활성화시키며 다른 이들도 다시 돌아오도록 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단, 주의할 점이 있다.
- 첫영성체 자체에 방점을 두기 보다 첫영성체 후 공동체 형성에 방점을 두자. 전례 부서 가입 및 자모회 활동으로 이어져야 한다.
- 기존 체제를 정비하자. 주일학교는 단계별 교육을 만들고 자모들은 자모 신앙 교육 및 활동을 정비해 두어야 한다. 사람이 모였을 때 담을 수 있는 그릇을 만들지 않으면 이내 빠져나가게 된다.
- 새로 활동을 시작한 이들을 적어도 6개월은 다른 단체로 데리고 가지 말자. 사람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다른 성인 단체로 자모들을 데리고 가면 주일학교 자모회도 흔들리고 새로 온 사람을 위한 배려가 없으면 바로 냉담으로 이어진다.
【 견진성사
견진 성사는 신앙의 성인이 되는 과정이다.
세례와 견진을 함께 하는 유럽과 달리 한국은 세례 후 일정 기간이 지난 다음 견진 성사를 준다. 따라서 견진 성사를 통해 기존의 신자를 다시 맞이할 수 있는 하나의 계기로 삼을 수 있다.
단, 주의할 점이 있다.
- 해치우기식 교육이 아닌 신앙에 대한 앎의 필요성을 일깨우자.
- 견진 성사 후 교육 및 신앙 프로그램으로 연결하자.(기도 모임들 + 성경 및 교리 공부 모임 등)
- 대부모의 역할을 빠른 시일 안에 할 수 있도록 세례 및 대자녀와 연결을 하자.
【 병자성사
코로나 때 가장 안타까운 점은 병자성사였다.
성사를 못 받고 선종하신 분들, 장례 미사를 거행하기 어려운 분들까지.
따라서 본당 차원에서 환자 영성체와 병자성사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면 신자들의 마음에 큰 위로가 될 수 있다. 이는 성사에 참여하는 이 뿐만 아니라 그의 가족과 지인에게까지 영향을 끼치게 된다.
단, 주의할 점이 있다.
- 사제와 봉사자는 백신 접종을 완료해야 한다.
- 거리나 장소에 상관없이 나갈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천주교가 가진 신앙의 유산은 참으로 많다.
이를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신자들의 신앙생활이 좌우될 수 있다.
코로나로 인해 행사와 이벤트의 한계를 깨달았으면, 이제 신앙의 본질에 접근할 수 있도록 준비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세상과 더욱 격리된 소수만의 잔치가 될 수 있다. 과거로 회귀가 아니 미래를 향한 성장이 될 수 있길 기도할 뿐이다.
출처 : 서울대교구 이승화 시몬 신부님의 사목연구소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iamlsh/22255782187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