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사목
묵상자료
설(하느님의 말씀 주일)
(민수6,22-27 / 야고 4,13-15 / 루카 12,35-40)
그리스도인의 삶
오늘 우리는 고유의 최대 명절인 설날을 맞이하였습니다.
하느님의 은총과 축복 속에서 올 한 해에도 늘 건강하시고 또한 주님의 평화와 기쁨을 누리는 삶이 되기를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우리는 새해 첫날을 봉헌함으로써 한 해를 하느님께 봉헌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한 해를 시작하는 자리에 우리는 미사 봉헌과 위령기도를 통해 하느님과 만나고 흩어졌던 가족과 친지들을 다시 만나게 됩니다.
또 세상을 떠난 이들과 만나게 되고 지상과 천상이 만나게 됩니다. 나아가 시간 또한 한 해의 끝과 시작이 만나는 때입니다.
그러므로 시간적 만남, 공간적 만남, 인간적 만남, 그래서 지상과 천상의 만남이 이루어지는 자리가 바로 설 명절의 자리가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동시에 우리의 고유 명절인 설은 나 자신이 누구인가를 확인하는 날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고향을 찾음으로써 내가 누구인가를 알게 됩니다.
고향 안에서 나는 조상들의 후손이며, 한 가족의 대를 이어 온 사람이며, 아버지이며, 어머니이며, 그리고 자식임을 발견합니다.
그래서 수많은 사람이 명절이면 고생을 마다하지 않고 고향으로 발길을 향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또 명절이면 조상들을 위한 차례를 지내는 것도 그렇습니다. 온 가족들이 한자리에 모여서 차례를 지내는 것은, 단순히 우리보다 먼저 가신 조상들의 명복을 빌기 위한 것만은 아닙니다. 우리는 차례를 통해 나의 뿌리가 어디에 있는지 그리고 나의 위치가 어디인지를 알게 됩니다. 나아가 나의 후손들에게 무엇을 물려줄 것이며, 또 어떻게 처신해야 할 것인지를 배우게 되는 것입니다.
설날 아침에 조상들을 위한 차례를 지내고 나면, 웃어른들에게 새해의 첫인사로 큰절을 올리며 세배합니다.
이 세배 역시 우리 자신들이 누구이며, 또 나의 위치가 어디인지를 확인하는 절차입니다. 어른들은 어른답게 아랫사람들로부터 세배받고, 절값과 더불어서 덕담(德談)으로 아랫사람들에게 한 해의 축복을 빌어줍니다.
사랑하는 청년 여러분!!
오늘 복음 역시 우리의 신분은 무엇인지 잘 말해 줍니다.
오늘 우리의 신분은 허리에 띠를 띠고, 등불을 켜 놓고, 주인이 돌아오기를 기다리는 종이라고 예수님께서 말씀하십니다. 주인이 언제 돌아오든지 주인을 반갑게 맞을 준비를 하는 종은 참으로 행복한 종입니다. 그러나 종이 자신의 신분을 잊은 채, 마치 주인인 것처럼 행동한다면 어떻게 되겠습니까?
우리가 하느님의 종, 곧 참된 그리스도인답게 살아갈 수 있는 길이란 무엇입니까?
우리 자신의 신분과 위치를 제대로 깨닫고, 그 위치에서 신분에 걸맞은 삶을 사는 것이야말로 참된 그리스도인의 생활일 것입니다.
오늘 복음 말씀을 통해 우리 모두 각자 주어진 자리에서 최선을 다할 것을 다짐해 봅시다.
끝으로 다시 한번 여러분 모두에게 하느님의 축복 가득한 하루가 되기를 빕니다.
여러분과 여러분의 가정에 하느님의 은총이 풍성히 내려서 올 한 해는 모두 건강하시고 또 소망하시는 일들이 하느님의 뜻 안에서 성취되기를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