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사목
묵상자료
사순 제4주일
1독서: 여호 5,9ㄱㄴ.10-12 / 2독서: 2코린 5,17-21 / 복음: 루카 15,1-3.11ㄴ-32
“큰아들이 뭘 그렇게 잘못했습니까?”
오늘 복음을 묵상할 때마다 떠오르는 기억이 있습니다.
예전에 본당 교리교사들과 오늘 복음으로 나누기를 하던 중에,
그 누구보다도 열심하던 교리교사가 아주 단호하게 “저는 큰아들 마음이 충분히 이해가 됩니다.
큰아들이 뭘 그렇게 잘못했습니까?”라며 나눔을 시작했습니다.
그러자 복음 나누기가 그동안 쌓여왔던 교사회, 더 나아가 본당에 대한 불만을 성토하는 자리가 되었습니다.
혹, “큰아들이 뭘 그렇게 잘못했습니까?” 이 말에 공감을 하고 있는 분들도 계실지 모르겠습니다.
오늘 복음은 불효한 두 명의 아들을 둔 한 아버지의 이야기입니다.
작은 아들이 유산을 미리 물려 달라고 청합니다.
유산을 미리 분배해 달라고 하는 것은, 아버지의 죽음을 전제하는 이야기이지요.
게다가 작은 아들은 미리 물려받은 유산을 다 탕진하며 살다가, 어려움에 처해서야 아버지 집으로 돌아가기로 결심합니다.
아버지는 저 멀리에 있는 아들을 보고 도착하기까지 기다리지 않고 달려가 목을 껴안고 입을 맞춥니다.
작은 아들은 아버지께 사죄의 말도 준비했지만 그 말을 다 끝내지 못합니다.
왜냐하면, 아버지가 그 말을 할 기회조차 주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아버지는 작은 아들이 돌아왔다는 사실 자체에만 관심이 있을 뿐입니다.
그리고 바로 잔치가 시작됩니다.
이런 모습에 큰아들은 화가 났습니다. 왜냐하면 징벌도 없이 작은 아들이 받아들여졌기 때문입니다.
아버지는 큰아들이 집에 들어오지 않으려 하자 그를 달래기 위해 또 집 밖으로 나가 타이르면서 잔치에 함께 참여할 것을 권합니다.
누군가가 “큰아들이 뭘 그렇게 잘못했습니까?”라고 질문한다면 여러분들은 어떻게 이야기 해 주시겠습니까?
“여러 해 동안 종처럼 아버지를 섬겼다” 는 말대로
큰아들은 스스로 종이라고 여기며 재산이 모두 자기 것이었는데도 자기 것인 줄 몰랐다는 것,
큰아들로서 아들을 잃은 아버지의 슬픔에 함께하지 않으며 동생의 안부를 전혀 걱정하지 않았다는 것,
동생이 돌아왔을 때 아버지의 기쁨에 동참하지 않았다는 것,
큰아들의 모습에는 가족의 모습이라고 할 만한 것이 없습니다.
하지만 이것이 질문에 대한 답의 전부가 되어서는 안됩니다.
오늘 복음의 첫 부분은 오늘 이 비유가 예수님께서 죄인들과 어울린다고 비난하는 바리사이들과 율법학자들에게 하신 이야기라고 전합니다.
예수님께서는 이 비유를 통해 바리사이들과 율법학자들에게
“왜 하느님의 용서와 자비에 화를 내느냐? 한 사람이라도 더 구원받는다는 사실을 기뻐해야 하지 않느냐?” 라는 말씀을 하고 싶으셨던 것입니다.
혹, 지금 우리도 하느님의 크신 사랑과 은총 속에서 신앙생활을 하지만, 다른 무엇과 비교하며 교회와 이웃에게 차가운 시선을 보내고 있는 것은 아닌지요?
끝으로, 예수님께서는 이 비유를 해피엔딩으로 맺지 않고 아버지가 큰아들을 설득하는 모습까지만 말씀하십니다.
그 뒷부분은 숙제로 남겨두셨습니다.
“아버지의 사랑을 믿는다면, 아버지의 사랑을 받고 있다면, 또 계속 받고 싶다면,
너도 형제와 이웃을 사랑하라”는 숙제입니다. 이것은 우리 모두에게 주시는 숙제이며 현재 진행형입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