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사목
묵상자료
주님 수난 성지 주일
(이사 50,4-7 / 필리 2,6-11 / 루카 22,14-23,56)
'날 위한 사랑, 예수의 순애보'
찬미예수님~
오늘 주님 수난 성지 주일을 시작으로 이제 일주일간 우리는 성주간을 지내게 됩니다.
성주간은 교회 전례주년, 교회의 일년 가운데 가장 경건한 기간으로 예수님의 수난과 죽음을 묵상하는 기간입니다.
그래서 성주간을 시작하는 주님 수난 성지 주일날 우리는 예수님의 수난에 대한 복음을 듣습니다.
복음서들에 나오는 주님의 수난기에서 사람들은
예수님을 ‘하느님을 모독하는 자’, ‘정치적 반역자’, ‘같은 십자가형에 처한 죄인’ 등으로 대하지만,
우리 교회는 수난기에 나오는 예수님의 모습을 참된 구세주의 모습으로 대합니다.
예수님의 수난 여정에서 예수님을 기다리고 있던 것들, 예수님을 둘러싸고 있던 것들은 이런 거였습니다.
모욕과 창피, 조롱과 배신, 광신과 거짓 증언, 권력 다툼과 책임 회피, 미움과 나태, 고문과 잔인함, 비겁함과 침묵.
그런데도 예수님은 당신 스스로 죽음을 맞으러 가셨습니다.
오늘 듣게된 루카 복음의 수난기에서는 칼을 들고 예수님을 잡으러 온 이들에게 맞서는 제자들을 향해 “그만해 두어라.”하고 말씀하셨고,
마태오와 마르코 복음의 수난기에서는 “이제 되었다. 시간이 되어 사람의 아들은 죄인들의 손에 넘어간다. 일어나 가자.”하고 말씀하셨습니다.
예수님은 세상을 너무나 사랑하신 나머지 당신을 내어주신 하느님 아버지의 뜻에 순종하기 위해 십자가를 향해 나아가셨습니다.
당신의 고통을 통해 우리를 구원하는 것이 예수님이 원하시는 일이자, 하느님 아버지가 원하시던 일이었기 때문입니다.
그리스도의 사랑 받는 청년 여러분,
성주간을 보내면서 하느님께서 우리를 어떻게 사랑하셨는지 더욱 자세하고 생생하게 기억하고 재현하는 성주간 전례에 꼭 참례하시기를 권합니다.
예수님의 수난기와 성주간 전례를 통해 여러분은 우리가 흉내 낼 수 없는 하느님 자비의 전능함을 발견하게 될 겁니다.
하느님이 가진 사랑의 완전함을 보여주기 위해, 악이 선을 이길 수 없다는 것을 밝히시기 위해 고난과 수난 중에도 선과 사랑 자체이신 하느님께 순종하는 구세주의 참된 모습을 보게 될 겁니다.
그리고 그리스도의 수난기가 나를 위한 사랑의 이야기이며, 나를 향한 예수의 순애보임을 알게될 겁니다.
성주간을 거치면서 나를 향한 지극한 주님의 사랑에 녹아들기를...
예수님의 수난을 곁에서 지켜본 백인대장의 고백이 나의 고백이 되기를 희망하며 은총을 청해봅니다.
“정녕 이 사람은 의로운 분이셨다. (루카23, 47)
참으로 이 사람은 하느님의 아드님이셨다. (마태오 27, 54)”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